일산동구 고1 1학기 기말고사 과학기출 ( 고양국제고 백마고 백석고 백신고 세원고 안곡고 저동고 저현고 정발고 중산고 풍동고 ) 일산 동구 소재 모든 고등학교의 고1-1 기말고사 과학기출 문제입니다 고양국제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백마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백석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백신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세원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안곡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저동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저현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정발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중산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풍동고 과학기출 다운로드 정답은 댓글로 이메일 남겨주시면 따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출문제풀이 2023.05.27
여름꽃 종류 - 장미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야생종이 북반구의 한대·아한대·온대·아열대에 분포하며 약 1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이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을 말한다. 장미는 갖춘 꽃으로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향기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을 말한다. 지금까지 2만 5000종이 개발되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6~7000종이며, 해마다 200종 이상의 새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장미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지역의 야생종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이때부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었다. 서양장미 중에서 꽃이 큰 수종은 사계절 내내 꽃이 피는 중국산 야생장.. 일상정보 2021.04.25
여름꽃 종류 -나팔꽃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인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관상용으로 심지만 길가나 빈터에 야생하기도 한다. 줄기는 아래쪽을 향한 털들이 빽빽이 나며 길게 뻗어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왼쪽으로 3m 정도 감아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둥근 심장 모양이고 잎몸의 끝이 보통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푸른 자주색, 붉은 자주색, 흰색, 붉은 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3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긴 털이 있다. 화관은 지름이 10∼13cm이고 깔때기처럼 생겼다. 꽃봉오리는 붓끝 같은 .. 일상정보 2021.04.24
봄꽃 종류 - 튤립 세계 화훼시장에서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 꽃으로, 생산량이 많아 가격도 싸고 기르기도 쉬워 원예 입문자에게 추천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르기 쉬운 것과 꽃 피우기 쉬운 것은 별개. 원예종 튤립들은 요구 환경 조건이 까다로워서 한국에서는 여름의 기온이 매우 높아 구근을 한번 사서 꽃을 피우고 나서 양분을 저장할 시간이 부족하다. 그래서 이듬해에는 개화율이 확 떨어진다. 원종이란 개량 이전의 야생종으로, 특징은 잡초처럼 잘 살지만 잡초처럼 꽃이 작다는 것(...). 하지만 누가 뭐래도 튤립은 튤립이라 그 꽃이 어디 안 간다. 네덜란드의 국화이기도 하며 네덜란드하면 떠오르는 꽃이지만 사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터키로 오늘날에도 터키의 국화로도 남아있다. 본래 lale(랄레)라고 불리던 튤립은 마치 터번(Turba.. 일상정보 2021.04.23
봄꽃 종류 - 팬지 제비꽃과에 속하는 꽃. 제비꽃 답게 어느 환경에서나 잘 자라고 번식력도 좋아 가격도 싸기 때문에 길가나 관공서 등지에서 가장 많이 심는 관상용 꽃이기도 하다. 꿀주머니도 있어 사루비아처럼은 아니지만 꽃잎3개중 하나에 달린 꿀주머니에서 꿀을 따먹을수 있다. 제비꽃처럼 따먹을 수도 있다. 흰색부터 자주빛 빨간색, 노란색, 보라색, 주황색, 파란색 등 아주 다양한 색깔의 품종이 있으며, 한 꽃잎에 여러개의 색상을 띈 품종들도 아주 많다. 위의 첫 번째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꽃은 작지만 원래 꽃 크기의 한 4배 정도로 뻥튀기해놓은 대두 팬지도 개량되어있다. 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사진이 바로 그 대두 품종들. 위의 원종 사진과 비교해보면 얼마나 꽃 크기를 뻥튀기시켰는지 실감할 수 있다. 꽃말은 '나를 .. 일상정보 2021.04.22
봄꽃 종류 - 모란 牧丹의 본래 한국 한자음은 목단. 활음조 현상 때문에 '모란'이라고 읽는다. 牡丹으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현대 지명 중에는 모란역이 있다. 이들을 종합하면 모단, 목단, 모란, 목란 등 총 4가지 방법으로 부를 수 있다. 이 중 '모단'은 거의 쓰이지 않는 독음법인데, '모란'의 일본식 표기 보탄(牡丹)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모단'이다. 작약과 작약속의 식물. 우리나라에선 예부터 부귀의 상징으로 쓰였는데, 설총의 《화왕계》에서는 꽃의 왕으로 의인화되었다. 선덕여왕의 일화에 등장하는 식물이기도 하다. 공주 시절(당시 당태종 시기) 때 당나라에서 온 모란 그림에 나비가 없는 것을 보고 향기가 없지 않겠느냐고 추측했는데, 동봉된 모란 씨를 심었더니 실제로 향기 없는 꽃이었다는 일화가 삼국유사에 있다. 이.. 일상정보 2021.04.21
봄꽃 종류 - 목련 목련(木蓮, Magnolia kobus)은 일본과 한국(제주도)에 분포하는 낙엽교목으로 흰색 꽃이 핀다. 속명 혹은 서구권에서 부르는 이름은 Magnolia인데 이는 18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인 피에르 마뇰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식 발음은 매그놀리아지만 프랑스어식 발음은 마뇰리아(/maɲoλa/)이다. 희고 풍성한 꽃잎이 아름답지만 꽃이 지면 바나나 껍질같이 추적추적해져서 미관을 해치는 대표적인 뒤끝 안 좋은 꽃. 우리가 흔히 목련이라 부르는 꽃은 백목련으로, 백목련은 6장의 꽃잎과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3장의 꽃받침을 갖고 있고 '목련'은 꽃잎이 6장이며 개화할 때 백목련보다 훨씬 넓고 편평하게 펴진다. 그 외에 자줏빛 꽃의 자목련과 일본 원산의 일본목련, 별목련, 산목련(함박꽃) 등이 있다. .. 일상정보 2021.04.20
봄꽃 종류 - 민들레 어디서나 매우 흔하게 보이는 다년생초[로서 바닥에 딱 붙어서 꽃대 대여섯 개가 쏙 올라온다. 톱니 모양의 잎새와 눈에 확 띄는 노란 꽃이 인상적이다. 특히 꽃이 지고나면 솜털 같은 깃이 달린 씨앗들이 나오는데 바람을 타고 날아가서 널리 퍼진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민들레는 다음과 같다. 민들레 흰민들레 좀민들레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이 중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이름만 봐도 외래종이다. 유럽 원산의 서양민들레들은 20세기 초에 건너오더니만 이미 완전히 토착화되었다. 때문에 대표적인 토착화한 외래종 즉 '귀화생물'의 예로 손꼽힌다. 서양민들레와 '토종' 민들레의 중간 외형을 가진 민들레들도 종종 발견할 수 있는데, 순혈주의 관점에선 어떨지 모르나 자연적 관점에선 당연히 좋은 일이다. .. 일상정보 2021.04.19
봄꽃 종류 - 벚나무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높이 약 20 m로 자라는 나무. 4~5월에 벚꽃을 피우고 6~7월에 열매(버찌)가 열린다. 넓은 의미로는 벚나무아속 벚나무절에 속한 나무들을 통틀어서 이르지만, 좁은 의미로는 벚나무절에 속한 종 중 '벚나무(Prunus jamasakura)'를 가리킨다. 자생력이 아주 뛰어나다. 팔만대장경판의 반 이상이 벚나무 재질임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껍질도 매우 질겨서 조선 시대에는 주력 무기인 각궁을 만들 때 벚나무 껍질로 겉면을 감아 마무리를 했고, 또한 김구의 백범일지에도 함경 지방에선 초가 대신 벚나무 껍질로 지붕을 만드는데 한 번 뿌리를 내리면 여간해선 벗겨지지 않는 탁월한 응집력에 김구가 감탄했다는 일화가 있다. 공해에도 강하여 자동차의 매연 등 공해가 심한 도심의 가로수로 .. 일상정보 2021.04.18
봄꽃 종류 - 개나리 봄에 피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벚꽃과 함께 봄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다만 벚꽃보다 개화 시기가 빠르기 때문에(보통 3월 말) 보통은 진달래와 엮여서 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찾아온걸 상징한다. 나리와 꽃 모양이 비슷한데, 나리보다 못하다고 해서 개- 접두사가 붙어 개나리가 되었다. 개처럼 흔하다고 해서 개나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일반적으로 흔히 보이는 개나리의 학명은 Forsythia koreana. 한국 특산종이다 봄철에 꽃이 화사하게 피다가 금방 사르륵 져버리고, 가을철에 들어서면 열매가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개나리속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유사종인 만리화(Forsythia ovata, 한국 특산)의 경우 개나리처럼 가지가 늘어지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입학 초기, 학기 초기.. 일상정보 2021.04.17